본문 바로가기

국내

선비의 상징 배롱나무꽃 병산서원

 

복례문 : 병산서원의 정문으로 솟을대문, 자신을 이기고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.

 

 

 

안동은 경상북도 북부의 중심에 있으며 서울 면적의 2.5배로 경상북도에서 가장 넓다. 

현재는 경북의 도청소재지이다.

태백산맥이 동서로 가로지르고 , 앞에는 낙동강이 흐르고 있다.

 

고려 초,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과 싸울 때 성주인 김선평과 장길, 권행이 백성들과 함께 왕건을 도왔다.

임금이 내려 주는 성을 '사성'이라고 하는데, 안동 김 씨, 안동 장 씨, 안동 권 씨를 안동의 삼태성이라고 한다.

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동국이 편안해졌다해서 고창을 안동으로 고쳤다.

고려 말에는, 홍건적의 난을 피해서 남쪽으로 행차한 공민왕이 안동에 머무를 때도 백성들이 충성을 다했다고 한다.

 

안동은 뿌리 깊은 유교문화로 잘 알려져 있으며, 유학자인 퇴계 이황과 서애 류성룡 등 많은 학자들을 배출하여

향교와 서원이 발달하였다.

그 밖에도 민속자료들이 잘 보존되어 있고, 이름 난 명승지가 많다.

 

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.

철종 14년에는 사액 사원으로 승격되었으며,  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.

 

 

 

 

광영정 : 물길을 끌어 만든 연못으로써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진 모양이라는 뜻

 

 

 

만대루 : 병산사원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로써 대강당

 

 

 

입교당 :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책을 직접 출판,  동재와 서재 : 유생들의 기숙사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존덕사 : 사당.          평소에는 닫혀있다 음력4월과 10월 향사 때에만 문을 연다.

 

 

 

 

고직사 : 서원을 관리하는 고지기가 산다.

 

 

 

머슴뒷간

 

 

 

유생들의 뒷간

 

 

병산서원에서 바라 본 병산절벽, 아래로는 낙동강이 흐르고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'국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노모를 위해 지은 정자 삼구정  (0) 2019.08.18
전설의 고향 치악산  (0) 2019.08.16
연꽃을 뜻하는 부용대  (0) 2019.08.16
배 모양의 하회마을  (0) 2019.08.16
딱! 내 스타일 속초 영랑호  (0) 2019.08.13